경제안보는 오늘날 국가 간 경제관계뿐 아니라 안보와 외교관계까지 결정하는 중요한 국제정치의 키워드가 되었다. 경제안보의 핵심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공급망 지배력이다. 공급망 지배력은 (1) 주요 수출기업 또는 수출제품의 지배적인 위치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통제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능력과 (2) 글로벌 공급망의 교란으로부터 자국 경제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전체 산업의 공급망 지배력 관점에서 한국은 매우 취약한 위치에 놓여 있다. 그러나 신산업 경쟁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수출권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미중경쟁이 현재와 같이 신산업과 기술에서의 경쟁으로 집중된다면 한국은 그 안에서 매우 중요한 능동적·주체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은 세계경제의 추격자 위치에서 어느덧 중심국가로 성장했다. 변화된 하드파워에 걸맞는 경제안보 소프트파워를 갖추어 경제안보시대를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바뀌어야 할까?
2023년 12월 8일
2023년 9월 26일
2023년 11월 30일
장슬기 / MBC 기획취재팀 데이터 전문기자
박종희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2021년 11월 23일
2021년 11월 16일
인터뷰
슬로우뉴스, "대선 여론조사, 노이즈를 제거하기: 박종희 교수 인터뷰" 2012년 12월18일
컴퓨터월드, "[데이터사이언티스트를 찾아서] “‘컨슈머’에서 ‘프로듀서’로…오픈소스의 개방성이 R의 저력” 2014년 4월 29일
한겨레신문, “개별 여론조사 편향 걷어내면 신뢰도 높여 [여론조사 메타분석, 총선 판세 가늠자] 박종희 서울대 교수 인터뷰" 2020년 3월 12일
동아일보, “김연아에 銀 안긴 소치올림픽, 개최국 효과 비정상적” 2020년 12월 2일
관훈클럽, "불신받는 대선 여론조사- 난립하는 군소 여론조사 업체들이 대선 좌우하는 현실 진단" 2021년 11월 5일
한국일보, "비호감 대선, 여론조사 쏟아져도 막판까지 민심 반영 못할 수도" 2021년 12월 6일
서울대저널, "재난에 ‘손 하나 까딱’하다. 이태원 참사, 그리고 한국의 재난 관리를 돌아보다" 2022년 12월 22일
경향신문, "범야 200석 예측, 실체는 있었을까" 2024년 4월 20일
서울대학교 동창회보, "미중 갈등과 세력권 질서의 부활" 2024년 11월